앱 크기 확인 방법
유니티에서 앱을 빌드 한 뒤
Console 창으로 이동(메뉴: Window > General > Console)하여 오른쪽 상단의 작은 드롭다운 패널을 클릭하고
Open Editor Log 를 선택하고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 할 수 있다.

Textures, Meshed, Animations, Sound, Shaders, Other Assets, Levels, Scrips, Included DLLs 등의 크기를 확인 할 수 있고
Complete size 를 최종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.
Complete size에서 APK나 AAB 형식으로 한번더 압축이 되면서 최종적으로 유저에게 제공 되는 파일의 크기가 정해진다.
구글 콘솔에 앱을 출시할때 앱 크기가 AAB 형식은 150Mb, APK 100Mb 가 넘으면 앱을 등록할 수 없고 구글에서 제공하는 PAD 를 사용
해서 앱 설치후 추가 다운로드를 통해 앱을 배포해야 한다.
https://docs.unity3d.com/kr/2020.3/Manual/play-asset-delivery.html
Play Asset Delivery - Unity 매뉴얼
Play Asset Delivery(PAD)는 150Mb보다 큰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Google Play Store 기능입니다. APK 확장 파일(OBB)을 사용하여 텍스처, 사운드, 메시와 같은 추가 에셋을 저장하는 대신
docs.unity3d.com
앱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서 각각 최적화를 할 수 있는 방법들과 그 외에 방법들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.
'유니티 최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유니티 최적화] 앱 다운로드 크기 최적화 #6 ( 폰트 font 사이즈 줄이기 ) (0) | 2023.02.23 |
---|---|
[유니티 최적화] 앱 다운로드 크기 최적화 #5 ( Audio 사이즈 줄이기 ) (1) | 2023.02.22 |
[유니티 최적화] 앱 다운로드 크기 최적화 #4 ( Player Setting 설정 ) (0) | 2023.02.22 |
[유니티 최적화] 앱 다운로드 크기 최적화 #3 ( Compression Method 설정 ) (0) | 2023.02.22 |
[유니티 최적화] 앱 다운로드 크기 최적화 #1 ( 앱 크기가 다운로드에 미치는 영향 ) (0) | 2023.02.22 |